백준 2251 - 물통
1. 문제 정리 - 부피가 A, B, C인 세개의 물통이 있다. - 초기값은 부피가 A, B인 물통은 0, C인 물통은 가득차 있다고 가정한다. - 물통은 한 물통이 완전히 비거나, 다른 물통이 완전히 찰 때까지 부을 수 있으며, 물의 손실은 없다. - 첫번째 물통(부피가 A인 물통)에 채워져 있는 물이 0일 때, 가능한 모든 마지막 물통(부피가 C인 물통)에 있을 수 있는 물의 양을 출력한다. 2. 접근 - BFS로 접근하였다. - A->B, A->C, B->A, B->C, C->A, C->B 총 6개의 물통에서 물을 옮길 수 있는 경우의 수가 있다. - 6개의 경우를 이동경로로 생각하여 BFS 순회를 통해 가능한 경우의 수 중, A부피의 물통에 물이 없을 때 C 부피의 물통에 있는 물을 출력한다. 3..
2021.12.28